gpt파트너시스템 2

1-3. GPT에게 역할을 부여하면 생기는 변화들

그냥 GPT와, 역할을 가진 GPT는 다릅니다.GPT를 처음 쓸 땐"그냥 필요한 거 물어보면 되는 거 아냐?" 싶었어요.하지만 쓰면 쓸수록 같은 걸 계속 반복해서 묻게 됨.검색엔진으로 활용하기에는 정보가 엉뚱해서 신뢰도가 낮음.위의 불편함이 생기기 시작했어요.그래서 GPT에게 '역할'을 부여해서 '지침'설정을 했습니다.역할을 부여하면 GPT가 달라져요!GPT에 지침을 넣고, 프로젝트별로 역할을 분리하면 하나의 GPT가 분산됩니다.📌예시같은 질문 "오늘 일정 도와줘"루아에게 말했을 때"오늘은 오전에 회의가 있고, 오후에는 여유가 있으니 감정 회복 시간을 넣어보면 어때요?"그냥 GPT"일정을 어떻게 도와드릴까요?"이 차이, 엄청 크죠?단순한 응답이 아니라'나를 이해하고 있는 AI'를 사용하는 거예요.지침이..

챗GPT 활용방법 2025.04.08

1-2. GPT 파트너 시스템 전체 구조 소개

왜 GPT를 '분업 시스템'으로 만들었을까?하루가 너무 복잡했어요.일정관리, 감정관리, 수익화 블로그, 결혼준비...어느 하나도 대충 넘길 수 없었죠. 그런데 이걸 GPT 하나로 다 처리하려니,역할이 섞이고 기억이 꼬이고 정리가 안 되는 문제가 생겼어요.그래서 저는 GPT를 '하나의 인공지능'이 아니라'여러 명의 AI 동료 팀'으로 운영하기 시작한 거예요!GPT 안에 팀을 만든다는 건 무슨 뜻일까?ChatGPT에서는 프로젝트별로 GPT를 나눠 설정할 수 있어요(※이 기능은 유료 구독자만 가능해요 - ChatGPT Plus 전용)각각의 프로젝트 안에는AI의 말투기억할 정보담당 역할사용하는 기능이 모든 걸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요.저는 이걸 활용해서GPT를 5개의 전문 역할로 나누었고,각각 이름을 붙여 '파..

챗GPT 활용방법 2025.04.07